본문 바로가기

월핵4

[4편] ReClass 사용해보기 포스팅에 앞서, AssaultCube와 관련된 모든 포스팅은 버전 1.2.0.2로 작성됩니다. Reclass 리클래스는 치트엔진에서도 메모리 구조를 수정하거나 분석하는데 사용됩니다. 치트엔진이 아니라 리클래스를 따로 사용하는 이유는 치트엔진에서 메모리를 분석할 때보다 보기쉽게 분석을 할 수 있고, C/C++로 클래스화시킬 수 있어서 사용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깃허브 내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ReClassNET/ReClass.NET GitHub - ReClassNET/ReClass.NET: More than a ReClass port to the .NET platform. More than a ReClass port to the .NET platform. Cont.. 2024. 2. 5.
[3편] 실제 게임에서 치트엔진 사용하기 (Local Entity Address) 포스팅에 앞서, AssaultCube와 관련된 모든 포스팅은 버전 1.2.0.2로 작성됩니다. 게임해킹에서의 가장 기본이라고 말할 수 있는 Local Entity, Pointer, offset 주소를 찾는 방법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치트엔진으로 게임해킹을 진행하기 위해서 오픈소스 게임인 Assaultcube 를 켜주도록 하겠습니다 정상적으로 게임을 켰으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치트엔진도 켜준 후 아래 사진처럼 게임을 Attach해주도록 하겠습니다 Open 클릭! 먼저 게임의 Local Entity 주소를 찾기 전에 잠깐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Local Entity 주소는 Player의 객체를 가리키는 주소입니다 이 주소를 찾게되면 오프셋을 더욱 쉽게 찾을 수 있기때문에 Local Entity 주소.. 2023. 1. 4.
[4편] 치트엔진 튜토리얼 - Step 4 치트엔진 튜토리얼 실행 우선 치트엔진 튜토리얼을 하기 위해서, 치트엔진과 튜토리얼 프로그램을 켜보도록 하겠습니다. 치트엔진 튜토리얼 - STEP 4 우선, 아래와 같은 사진의 프로그램이 실행되었다면 Process Attach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가지 프로세스 중에서 아래 사진과 같이 Tutorial-x86_64 를 Open 해 줍니다. STEP 4 설명 Health , Ammo 메모리의 주소를 찾아 값을 5000으로 변경하기. (단, 아래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자료형이 Healht = float, Ammo = double로 되어있습니다.) 치트엔진 스텝4에서는 스텝 2와 같은 원리이지만 찾을 값의 자료형이 Float과 Double 로 되어있다는 점만이 다릅니다. 실제 게임에서 해킹을 진행하게 되면.. 2022. 12. 5.
[1편] 게임 핵의 종류와 기초 (AssaultCube) 해당 글은 C++과 치트엔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없으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치트엔진 튜토리얼 포스팅 보러가기추후 글에서 사용될 오픈소스 게임인 Assaultcube의 버전은 1.2.0.2  입니다.AssaultCube v1.2.0.2 다운로드게임 핵(HACK) & 게임 치트(CHEAT)게임 내 해킹 프로그램을 이르는 말으로, 흔히 핵이라고 불립니다. 흔히 말하는 맵핵, 스피드핵, 에임봇, 매크로 등이 해킹 프로그램 범주에 포함됩니다. 핵 개발에 사용되는 언어로는 C++이 주로 사용되며 간단한 매크로인 경우는 AutoHotKey와 Lua등이 사용됩니다.게임 해킹 프로그램에 대한 나무위키  내부(INTERNAL) & 외부(EXTERNAL) 기본적인 개념핵에 필요한 게임의 여러가지 메모리값을 리버.. 2022. 12. 4.
반응형